임차인의 원상회복의무, 상가와 주택 사례별 정리
임대차 계약이 종료되면 임차인의 원상회복의무 때문에 많은 분쟁이 생깁니다. 이 글에서는 상가와 주택의 원상회복 범위, 판례를 알아보겠습니다. 1. 임차인의 원상회복의무 1) 원상회복의무의 발생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임대목적물을 반환하는 때에는 원상회복의무가 있습니다.(민법 제654조, 제615조) 임대차 기간이 종료한 경우는 물론이고, 임대인의 귀책사유로 임대차 계약이 해지된 경우에도 임차인이 원상회복의무를 지며, 이와 별개로 임대인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을 뿐입니다.(대법원 2002. 12. 6. 선고 2002다42278 판결) 2) 임차인의 원상회복의무의 범위와 내용 • 기준시점: 임차인은 자기가 임차… 임차인의 원상회복의무, 상가와 주택 사례별 정리